무라카미 하루키 잡문집

하루키의 소설을 좋아하지 않지만, 하루키라는 사람과 그 사람의 진짜 이야기를 담은 수필은 좋아하는 편이다. 성실하고 꾸준한 삶을 위해 달리기를 한다는 점이 그를 좋아하게 하는 가장 큰 요인인 듯 하다.

이 책은 광교 엘리웨이 책 발전소에 구경을 갔다가 우연히 알게 되었다. 제목을 적어 두었다가 수원시 도서관 상호대차 서비스를 이용해 무려 3번을 빌려 보았다. 제목이 잡문집인 만큼 워낙 다양한 주제의 이야기가 두서없이 담겨 있어 한 호흡으로 많이 읽기 힘들었다.

중간에 건너 뛴 글도 있고 끝까지 다 읽지도 못했지만 그래도 재미있게 읽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나와 다른 사람을 알아가는 과정, 더군다나 매력있는 사람, 나름대로 멋진 삶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의 이야기는 대체로 흥미롭다.

일본 사람 특유의 느낌이 있다. 어떤 사물, 사안에 대해서 그것이 사소할지라도 호불호가 명확하다는 느낌이 그것이다. 다르게 말하면 살면서 마주치는 모든 것들에 대해서 나름의 생각이 있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어떤 것에 아무래도 상관없다는 태도조차 자신의 입장이 명확하게 느껴진다.

나보다 한참 오래산 사람이긴 하지만, 이렇게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다양한 이야기를 쏟아낼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 부러운 마음이 들었다. 평범한 직장인인 나는 삶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지 못한 것이 아닌가 하는 초조한 마음이 들기도 했다.

글을 쓰는 것도 생각을 하는 것도 가볍게 그냥 해보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많이 쓰고 생각하고 그리고 계속해서 다듬어 나간다면, 나도 나름의 감상을 세상에 남길 수 있겠지. 이미 많은 것을 느끼고 경험하고 있지만, 단지 활자의 형태로 남기는데 필요한 부지런함이 부족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누구나 홀로 선 나무

누구나 홀로 선 나무
조정래 지음/문학동네

누군가 나에게 존경하는 사람을 묻는 다면 나는 서슴 없이 조정래, 안철수 두 사람을 이야기 한다. 그렇기에 다른 책을 읽다가 조정래 선생님의 수필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그의 수필을 찾고, 그의 수필을 읽는 시간은 나에게 참으로 행복한 시간이였다.

보통 사람들은 <태백산맥>을 먼저 접하게 되는데 반하여 나는 <아리랑>을 먼저 접하게 되었다. 고등학교 1학년 여름방학 언어영역에 취약했던 나는 문학작품을 접할 요량으로 아버지가 읽으시던 <아리랑>을 읽기 시작했고 방학이 끝날 무렵 마지막 12권을 덮었다. 그리고 나는 조정래의 팬이 되었다. (믿거나 말거나 <아리랑>을 두달만에 완독한 이후로 읽기 속도가 현저히 향상되어 언어영역 점수가 20점 이상 상승했다.) 그 후 고등학교생 일 때 <태백산맥>까지 다 읽고 대학생때 <한강>을 다 읽었던 것 같다. 그 뒤로 간간히 출간되었던 <인간연습>이나 <오 하느님> 역시 모두 읽었다. 그리고 여전히 그의 다음 작품을 기대하는 것은 나의 지나친 욕심일까?  

이 책은 조정래 선생님의 인생관, 문학관, 사회관이 잘 나타나있다. 왜 문학을 하는가 어떻게 <태백산맥>등의 대하소설을 쓰게 되었는가에 대한 그의 생각이 솔직하게 드러난다. 그는 대하소설을 쓰는 과정에서 역사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발로 뛰었다. 전 세계를 몇 바퀴 돌아 우리 민족의 아픈 역사를 철저히 파헤쳤고 민족의 슬픔을 절절히 함께 했으며 그 것을 소설에 풀어내면서 모진 고초를 겪기도 하였다. (그는 지금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다고 한다.) 그의 작가 정신은 다음 글에 잘 나타나있다.

“진정한 작가란 그 어느 시대, 그 어떤 정권하고도 불화할 수 밖에 없다. 왜냐하면 모든 권력이란 오류를 저지르게 돼 있고 진정한 작가는 그 오류들을 파헤치며 진실을 말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작가는 정치성과는 전혀 관계없이 진보적인 존재일 수밖에 없으며, 그러나 진보성을 띤 정치세력이 배태하는 오류까지도 직시하고 밝혀내야 하기 때문에 작가는 끝없는 불화 속에서 외로울 수밖에 없다.”

이러한 작가정신을 고수하기 위해 그는 스스로를 글감옥에 가두고 평생을 작품에 바쳤다. 그가 쓴 원고지를 쌓아 올리면 키의 3배를 넘는다고 한다. 지금 내게 <아리랑>, <태백산맥>, <한강>이 있다면 꼭 한번 다시 읽어보고 싶지만, 창원집에 있어 후일로 미룰 수 밖에 없음이 아쉽다. 나는 역사의 진실을 알기 위해서 우리가 그의 소설을 꼭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의 후손들도 꼭 읽어주었으면 한다. 빨갱이가 나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던 나의 고등학교 시절 그 때 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