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원 vs 하원

월화는 어린이집 하원을 수목금은 등원을 담당하는 루틴을 이어오다가, 이번주에는 5일 연속 하원을 담당했다.

일과 공부의 관점에서는 등원이 좋다. 아이가 일어나기 전에 개인 공부를 할 수 있고, 충분히 일할 수 있는 시간이 뒤로 열려 있기 때문이다.

하원하는 날은 5시 15분에 일어나 하루를 시작한다. 회사에선 퇴근 시간이 오후 4시 반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에 쫓기며 전투적으로 업무에 임한다. 급한 마음으로 40~50분 운전해 어린이집에 도착해도 같은 반 친구들이 몇 명 남아 있지 않다. 집에 돌아와 저녁을 준비하고 먹고 정리하는 것도 간단한 일은 아니다.

이번주엔 자기계발을 거의 하지 못했다. 일요일 특근부터 6일 연속 출근에 월화수목금 5일 연속 하원을 담당하다보니 체력적으로 힘들었다.

아이는 늘 잠자리에 드는 것이 아쉽다. 매일 밤 잠과 놀이 사이에서 실랑이가 벌어진다.

이번주 육아퇴근 시간은 보통 오후 11시였는데, 다음날 5시 15분에 일어나려면 수면시간도 부족하고, 체력도 바닥이라 공부고 나발이고 그냥 잤다. 내일을 살기 위해서.

내가 가진 실력에 불만이 많다. 평일엔 3시간씩, 주말엔 6시간씩 공부해야 원하는 수준에 다가갈 수 있을 것 같은데, 현실에 맞춰서 오늘 할 수 있는 것을 하는 것에 만족해야겠다.

다음 주엔 5일 연속 등원 담당이다. 이번 주보다 나은 한 주를 보낼 수 있기를 바란다.

책걸이

2월에 AWS 네트워크 입문 책 한 권을 다 공부하기로 결심했고, 계획보다 며칠 더 써서 목표한 바를 이루었다.

아이가 잠든 시간에 잠을 아끼며 진행한 공부여서 더 뿌듯하다.

마음에 새기는 세이노의 가르침 하나

“잘하면 즐겁고 못하면 괴롭다.”

즐거움을 위한 공부는 기꺼이 할 수 있다.

갈 길이 아주 아주 멀다.

PL

LG전자에는 PL로 불리는 역할이 존재한다. 수당이 나오는 것도 아니고, 평가권이 있는 것도 아니고, 돈을 쓸 수 있는 권한도 없는 애매한 위치다. 그래서 블라인드에선 비공식 조직책임자로 불리기도 한다.

2016년 말 너무 빨리 PL이 되어 버렸다. 기존 PL의 팀장 진급으로 바뀐 리더십을 받아들일 수 없었기에 갑작스럽게 리더가 되는 길을 택했고 그렇게 2022년까지 중간에 육아휴직 1년을 제외하고 5년 동안 PL 역할을 수행했다.

대체로 즐겁게 PL 역할을 수행하면서 보람도 많이 느꼈다. 자율성 기반의 조직문화를 추구했고, 구성원들이 성장하고 회사생활에 만족하는 것이 느껴질때마다 행복했다.

그러나 육아휴직에서 복직 후 내가 좋아하고 잘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진지하게 고민한 후에는, 그 때 PL을 맡지 않았다면 좋았겠다는 생각을 종종한다. PL로서 잘 하기 위해서 투입했던 리소스를 좋은 SWE가 되는 데 투입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PL을 Part Leader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Project Leader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나는 Part Leader라고 생각한다.

Part Leader는 조직문화를 관리하고, 구성원들의 성장과 회사생활 전반에 대해서 지원해야 할 의무가 있다. 반대로 말하면 일 외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권한이 있다. Part의 규모가 13명에 이르렀을 때 나는 관리자의 역할에만 충실해야 했다.

Project Leader는 하나의 프로젝트의 성공에 집중할 수 있다. 선택에 따라선 Tech Leader로서 실무를 겸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올해 초 새로운 팀이 꾸려지면서 Project Leader가 되었다. Part Leader로서의 의무를 덜어내고 Project 하나의 성공에 몰입할 수 있게 되어서, 기술적으로도 직접 기여할 수 있게 되어서, 너무나 감사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

새로운 팀장님의 리더십도 좋고, 조직 문화도 좋고, 함께 일하는 동료들도 좋다. 나만 잘 하면 된다.

이사 준비

2025년 3월 아이의 초등학교 입학 전에 이사를 가려한다. 지금 사는 집은 거실에서 호수가 보이고, 도서관도 가까워서 노후에 살기엔 참 좋은집이지만, 학교가 멀고 교통이 불편하고 상업지구도 멀리 있어 바쁜 맞벌이 가정에겐 효율이 많이 떨어지는 곳이다.

가고 싶은 아파트는 신분당선 상현역 초역세권에 있는 광교자이더클래스다. 횡단보도 하나 건너면 초중고가 다 있고, 지도에서 보이진 않지만 상현고등학교 위에 도서관도 있다.

아이를 등교시키고 바로 전철로 출근하면 시간과 에너지를 굉장히 많이 아낄 수 있을 것 같다. 지금은 집에서 출발해서 차로 어린이집 등원 후 다시 집 옆 도로까지 돌아오는 데 40~50분이 걸리고, 거기서부터 40~50분을 더 운전해야 회사에 도착한다.

차 없이 늦게 집에 올 때면 상현역에서 버스가 끊겨서 집까지 40분 넘게 걸어온 날들도 꽤 된다.

집 값이 최고조에 이르렀을 때 두 아파트의 가격 차이는 5억 이상이었는데, 집 값이 떨어지면서 차이가 2억대로 좁혀졌다.

올해 들어선 주식 매수를 멈추고 현금을 쌓고 있다. 연금, ISA계좌의 배당금은 재투자하고, 일반 계좌의 배당금은 집을 옮기는 데 보탤 생각이다. 주담대를 쓰지 않고 이사를 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 등기에 아내와 나의 이름만 적을 수 있길 바란다.

금주

다시 금주를 실천한지 2~3주 정도 된 것 같다.

40대, 맞벌이, 육아라는 조건 속에서 하루에 10분이라도 자기계발을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정말 중요하다.

에너지가 부족하면 의지로 이겨내야 하는데, 40년 살면서 느낀 것 중에 하나는 인간의 의지력은 형편없다는 것이다.

성장을 위한 노력에 의지력을 좀 덜 써도 되도록, 술 끊는 의지력을 발휘해야 하는 것이다.

다행히 나에겐 술을 끊을 때 의지력이 거의 필요하지 않다. 술을 그다지 좋아하지 않기 때문이다.

시원한 맥주를 마시는 순간은 좋아 하지만, 취하는 것이 싫고 피곤한 것이 싫다.

언제나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하고 싶다. 그래서 앞으로는 가능하면 술을 마시지 않는 삶을 이어나갈 생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