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Pushup Drill

지속가능한 다이어트를 위해서 언젠가는 근력운동을 병행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가장 쉽게 시작할 수 있는 팔굽혀 펴기를 “Pushup Drill”이라는 앱의 도움을 받아 지속한지 9주가 흘렀습니다.

2013-08-26 21.24.15

첫날은 15개로 시작해서 9주차에는 220개를 소화하는 프로그램이 짜여져 있어서 앱의 가이드를 따라서 열심히 했습니다. 처음에는 220개를 어떻게 하나 싶었는데 완벽한 자세는 아니었지만, 중간에 계획에 없던 휴식시간을 추가하기도 했지만, 결국 해냈습니다!

2013-08-26 22.29.02

운동방식은 이렇습니다.

  • 1주 1일차: 2개, 1분 휴식, 3개, 1분 휴식, 3개, 1분 휴식, 3개, 1분 휴식, 4개 (총 15개)
  • 9주 3일차: 30개, 2분 휴식, 30개, 2분 휴식, 30개, 2분 휴식, 35개, 2분 휴식, 30개, 2분 휴식, 30개, 2분 휴식, 35개 (총 220개)

1개 사이의 간격은 1초에서 10초까지 조절할 수 있고 운동 중 잠시 멈추거나 휴식 시간을 30초 단위로 연장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2013-08-26 21.28.55

Achievement 탭에는 운동한 결과가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9주 동안 2~3일에 한번씩 30분 미만의 시간을 투자해 팔굽혀 펴기를 했을 뿐인데, 유산소 운동으로 체중이 빠지는 동안에도 근육량은 오히려 1.3kg 증가하였습니다.

이제 Beginner 단계가 끝났을 뿐입니다. Moderate 단계를 넘어 Advanced 단계까지 꾸준히 노력해 볼 생각입니다. 하루하루 단단해지는 몸을 느끼는 것은 이미 삶의 소소한 즐거움 중 하나로 자리 잡은 것 같습니다.

51일만에 볼링 복귀전

지난 7월 6일 허리부상으로 볼링을 쉰지 51일만에 다시 볼링장에 복귀하였습니다.

2013-08-25 10.02.09

오랜만에 찾은 탄천 볼링장은 “우리동네 예체능” 볼링편으로 지펴진 열기를 그대로 간직하고 있었습니다. (10시부터 시작이고 36레인인데 11시 40분쯤 대기번호 4번 팀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허리통증은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회복되었지만, 볼링처럼 허리에 큰 부담을 주는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만큼은 아니라서 굉장히 조심스럽게 투구를 했습니다. 공을 몇 번 던져보니 역시 100%의 상태는 아니라서 허리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힘을 빼고 부드럽게 공을 던지려고 노력했습니다.

역시 오랜 공백은 속일 수 없는지 첫 다섯 프레임은 1번 핀을 제대로 맞추지 못했고, 그나마 후반에 감을 되찾아서 128점으로 마무리 했습니다. 어느정도의 감을 회복한 상태에서 시작한 두 번째 게임에서는 10 프레임에서 터키를 친 덕분에 170점을 기록했습니다. 마지막이었던 세 번째 게임에서는 스페어를 이어나가다가 9프레임부터 터키를 치면서 200점을 기록했습니다.

허리 통증에 주의를 기울이느라 릴리즈는 전혀 신경쓰지 못했는데, 의도치 않게 예전보다 훅이 많이 살아나서 눈에 띌 정도로 공의 움직임이 좋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재밌는 게임을 할 수 있었고 조금 더 회복된 후 다음 게임이 기대됩니다.

평소에는 볼링장을 찾으면 6~8게임을 즐기곤 했는데, 이번에는 3게임으로 만족해야했습니다. 만약 허리 통증이 재발했다면 1게임도 제대로 못쳤을 수도 있는데, 3게임이나 칠 수 있어서 행복했습니다. 다시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이제는 결코 무리하지 않을 생각입니다.

Polar FT7 심박계

최대한 효율적으로 체지방을 태우기 위해서 가성비 좋기로 유명한 Polar FT7 심박계를 구입하였습니다.

2013-08-17 12.01.57

한국에 정식수입되는 제품이 아니라서 오픈마켓의 구매대행업체를 통해서 구매했고 가격은 대략 11만원선입니다. 아마존에 69달러에 무료배송해주는 판매처가 있었으나 역시 한국으로의 배송은 안되더군요.

2013-08-17 12.03.30

시계와 심박계 그리고 설명서로 구성되어 있는데 사용법이 워낙 간단해서 굳이 설명서를 펼쳐볼 필요가 없습니다.

220에서 나이를 빼면 최대 심박수를 구할 수 있고, 최대 심박수의 70% 근처에서 운동을 해야 가장 효율적으로 지방을 연소시킬 수 있다고 합니다. 시계를 켜보니 생년월일, 키, 몸무게 등을 물어봅니다. 설정을 마치고 나니 제 나이에 가장 효율적으로 Fat Burn을 할 수 있는 심박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운동할 때 다음과 같은 화면을 통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품 검증 및 리뷰를 위해서 집에서 제자리 뛰기를 해 보았습니다.)

2013-08-17 12.14.53

현재 심박수는 91, Fat Burn을 위해서는 137에 맞춰야 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 심박수만 크게 볼 수 있는 화면도 있는데 사진은 못찍었네요.)

2013-08-17 12.15.28

운동시간과 현재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3-08-17 12.15.40

현재까지 소모한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FT7에는 메모리 기능이 있기 때문에 운동이 끝난 후 확인할 수 있는 정보를 언제든지 다시 꺼내 볼 수 있습니다.

2013-08-17 12.16.48

운동시간 중 Fat Burn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 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2013-08-17 12.16.38

평균 심박수, 최대 심박수를 확인할 수 있고,

2013-08-17 12.16.29

전체 운동시간과 소모 칼로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 밤엔 처음으로 심박계를 착용하고 평소처럼 탄천을 달려 보았는데, 22분 22초의 운동시간 중 Fat Burn 구간은 1분 12초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유산소 운동의 목표가 체지방 연소인데, 굉장히 비효율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었습니다. 한번 운동하더라도 조금 더 천천히 조금 더 오랫동안 뛰는 편이 유리하다는 것을 심박계를 통해 알았으니 앞으로는 효율적인 운동을 통해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볼링 시즌아웃?

지난주 토요일 볼링을 치다가 두 번째 게임 초반부터 허리근육에 통증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아픔을 참고 4게임을 소화했는데, 그 후 며칠 동안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로 큰 부상을 입고 말았습니다.

최근에 무리하게 8 min abs 운동을 하면서 허리근육이 약해진 상태에서 볼링을 쳤더니 근육이 많이 다쳤나봅니다. 통증을 처음 느꼈을때 바로 그만 두었어야했는데 하는 후회가 많이 남습니다.

다행히 지금은 많이 호전된 상태이지만 당분간은 볼링을 멀리해야 할 것 같습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충분히 몸을 단련을 한 후에 천천히 다시 시작하고자 합니다. 그동안 안좋았던 손목도 이번에 쉬면서 완전히 회복대길 기대합니다.

지금까지는 유산소 운동을 주로 해왔는데 이제는 근육 운동의 비중을 높이려고 합니다. 앞으로는 좋아하는 운동을 쉬게 되는 일이 없도록 절대로 무리해선 안되겠습니다.

볼링 레슨 그 후

매주 월요일, 목요일 오후 9시 30분까지 김남주프로볼링샵에 방문하시면 김남주 프로님께서 무료로 레슨을 해주십니다. (물론 찾아가기 전에 미리 전화로 연락을 드려야 합니다.)

2번의 레슨을 받기 전 평균점수는 160~170점 정도였고, 레슨 후 얼마동안은 150~160점으로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볼링화를 바꾼 후 적응기간이 끝나자 평균점수는 190점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 6월 1일 볼링화 Dexter SST8 구입
  • 6월 2일 탄천볼링장: 165, 170, 153, 169, 146, 183, 215 (평균 172점)
  • 6월 5일 탄천볼링장: 203, 169, 186, 211, 202 (평균 194점)
  • 6월 8일 탄천볼링장: 186, 184, 214, 157, 180, 190, 186, 210 (평균 188점)

레슨 전에는 느리고, 회전수가 적고, 공을 던질때마다 쿵 소리가났는데, 지금은 소리없이 공을 던질 수 있게 되었고 회전수가 늘었고 공의 스피드도 이전보다 상당히 좋아졌습니다.

레슨 후 엄지손가락이 빠지지 않은 상태로 턴, 리프팅하는 습관을 완전히 버리기 위해 한동안 스트레이트 구질로 볼링을 쳐야했습니다. 훅으로 치다가 스트레이트로 치려니 정확도가 더 요구 되더군요. 덕분에 한동안 평균 점수가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백스윙의 정점에서 펴졌던 손목을 자연스럽게 복원하는 요령을 익히면서 공이 던져지는 순간 엄지방향이 공의 진행방향과 일치하게 되었고 덕분에 엄지타이밍이 빨라지면서 자연스러운 훅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엄지타이밍보다 더 중요한 포인트는 스텝입니다. 그런데 처음 구입한 볼링화는 합성레인에서 제대로 슬라이딩이 안되어서 착지가 늘 불안하고 파울라인에 도달하지 못했습니다. 이 문제는 Dexter SST8를 구입하면서 해결되었습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지만 인위적인 팔의 힘이 아닌 물흐르듯 자연스러운 스텝과 스윙의 조화속에서 힘을 얻어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놈 듀크처럼 화려하진 않지만 정교한 클래식 볼링 스타일로 기본기를 쌓고 평균 190점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목표입니다.